오늘 파이낸셜 뉴스 등에서는 애플의 3핀 충전포트 특허관련 뉴스를 보도했습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4&aid=0004594410
이것이 아이폰의 새 충전포트 '둥근 3핀'
[파이낸셜뉴스] 애플의 라이트닝을 대체할 새로운 충전 연결포트의 밑그림이 공개됐다. 3일(현지시간) 애플 특허전문매체 '패턴틀리 애플'은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제출된 3핀 맥세이프 충전기
news.naver.com
3핀 충전포트관련 특허가 무엇인지 찾아봤습니다.
1. 애플 특허 US10,938,147
파이낸셜뉴스는 아래의 Patently Apple 참고해 작성된 것 같습니다.
Apple wins a Patent for Multiple Styles of Magnetic Smart Connector Systems
Today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officially granted Apple a patent that relates to various styles of smart connectors. While wireless charging is the direction Apple is taking, magnetic connectors are still being contemplated by Apple. Apple's fi
www.patentlyapple.com
대부분의 신문기사는 특허 출원과 등록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습니다.
파이낸셜 뉴스는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제출된 3핀 맥세이프 충전기의 새로운 특허'
ZDnet 뉴스는 '애플이 미국 특허청에 제출한 새로운 맥세이프 충전포트 특허'
특허출원과 특허등록은 다릅니다. 등록되어야만 비로소 특허'권'이 생깁니다.
Patently Apple의 기사에서 찾은 특허번호는 granted patent 10,938,147.
국내 검색엔진에서는 아직 검색이 안되어 USPTO에서 찾아봤습니다.
3월2일에 등록되었네요.
등록과정을 보면 신규성, 진보성과 기재불비 거절이유에 대해 애플은 한정보정하여 아래 대표 청구항으로 등록되었습니다.
빨간색: 최초 출원에 있었으나 심사과정에서 삭제된 구성
굵은 파란색: Non Final Rejection에 대응해서 추가된 구성
굵은 보라색: Final Rejection에 대응해서 추가된 구성
1. An a device enclosure a contact structure a contact housing having defining a plurality of passages a plurality of spring-biased a barrel defining a channel and having a first end a movable pin assembly disposed within the channel, the movable pin assembly extending through the pin opening in the barrel and having a a magnet disposed within the channel and positioned adjacent the first end, and a spring |
이 특허 특징은 spring-biased pin assembly, magnetic 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
제일 왼쪽 첫번째가 둥근 3핀 충전포트 특허, 나머지 4건이 심사관이 찾은 선행문헌인데
도면상으로 비슷해 보이시나요?
저는 특허 내용은 읽어보지 않았지만 도면만으로 보면 구성과 목적이 유사하거나 업계사람이 조합해서 쉽게 만들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애플이 둥근 3핀을 개발한 이유는 충전 등에 따른 데미지 방지를 위해서라고 하네요.
'Such ports and the contacts positioned therein can be susceptible to damage, etc. Consequently, an accessory device with more robust and/or protected charging contacts is desirable.'
2. 도입 가능성은?
이 특허는 미국, 중국, 유럽, 대만에는 패밀리가 있는데 한국은 없습니다.
미국 심사과정과 과거 애플 특허분쟁 사례를 고려하면 만약 한국에서 출시될 경우 특허 분쟁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네요. 애플이 특허분쟁 가능성이 있는데 도입할까? 의문입니다.
그리고 최근 애플 특허는 무선 충전에 관련된 특허가 상당히 많습니다.
아마도 아이폰13, 14에서는 둥근 3핀보다는 무선충전방식만 유지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3. 도입 시 수혜주는?
그런데도 만약 도입되면 수혜주가 있을까요?
이 특허는 spring-biased pin, 즉 포고핀(POGO PIN) 방식을 이용합니다.
사실 포고핀은 예전부터 모바일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던 악세사리 방식입니다.
포고핀은 반도체 테스트용으로 많이 사용하기도 하는 제품인데, 스프링이 있는 작은 관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포고핀 중 높은 난이도가 필요한 제품은 미국이나 일본 업체가, 저렴한 포고핀은 중국에서 제조판매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ISC, TSE, 리노공업 정도가 가능성은 있겠네요.
*위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특허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서 폭스바겐때문에 엘지화학 주가는 계속 영향을 받을까? (0) | 2021.03.16 |
---|---|
배터리 종류, 엘지화학 전망과 각형 배터리 수혜주 (0) | 2021.03.16 |
폭스바겐이 적용 중단하는 파우치형 배터리란? (0) | 2021.03.15 |
삼성전자 SAVARI 인수? 우연일까? 삼성의 자율주행 특허 경쟁력은? (0) | 2021.03.02 |
애플의 smartThermostat 홈킷 에코비(ecobee) 한국 출시 임박? (0) | 2021.02.15 |
댓글